top of page

[Korea Week1] 한글 타이포그래피 워크숍(10.5, 10.7)


[Korea Week1] 한글 타이포그래피 워크숍

주토론토총영사관은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 타이포그라피 학회의 후원으로 한글 타이포그래피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본 워크숍은 2021.10.5.(화), 10.7.(목), 7:30-9:00pm 온라인(줌)으로 양일간 캐나다와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타이포그라피 학회 박경식 국제교류이사가 진행합니다. 강의와 실습을 통해 한글의 창제원리, 한글의 격동의 역사 그리고 현재 대한민국 속 한글에 대해 이야기 나눕니다. 실습을 통해 한글로 자신의 이름을 쓰고, 창제원리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폰트를 제작하기도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일시:

- (1일차) 2021.10.5.(화) 7:30-9:00pm EST

- (2일차) 2021.10.7.(목) 7:30-9:00pm EST

장소: 온라인(zoom) (세미나 참가 링크는 Eventbrite.ca 등록자 이메일을 통해 전달 예정)

등록 링크 : KoreanTypography.eventbrite.ca

(사전 질문이 있으신 경우 이메일(torontoculture@mofa.go.kr)로 먼저 보내주셔도 됩니다.)

주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워크샵 (*영어로 진행)

소주제:

• 한글의 창제

• 한글: 모듈러 문자 체계

• 한글 폰트 디자인의 기본

• 현대 한글 타이포그래피

• 대중문화 속 한글

일정:

1일차(10.5)

인사+강연1: 한글, 모듈러 문자 체계

실습 1: 한글 이름

강연 2: 한글의 역사

2일차(10.7)

강연 3: 한글의 아름다움

실습 2: 한글의 기본 단위

강연 4: 한글의 미래

* 본 워크숍 강의는 인원 제한 없이 사전등록한 누구에게나 공개되지만, 실습은 최초 등록자 30명에 한해 진행되는 점 미리 알려 드립니다.

연사 소개: 박경식(Fritz K. Park)

사디를 거쳐 미국 밀워키 인스티튜트 오브 아트 앤드 디자인에서 홍익 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IDAS)에서 디자인 경영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타이포그래피 전문지 『히읗』의 편집장으로 일했고,『글짜씨』 등 국내외 학술지와 국제타이포그래피협회(ATypI) 등 학술 회의에서 논문을 발표했다. 『디자인 디자이너 디자이니스트』(지콜론북, 2014)를 써냈고, ‘세미 콜론 그래픽노블’ 시리즈 중 『윌슨』(2012)과 『브레이크다운스』(2014)를 번역하기도 했다. SADI와 건국대학교에서 타이포그래피와 그래픽 디자인을 가르쳤으며, 타이포잔치 2015에 큐레이터 겸 작가로 참여했고, 2017년부터 포스터 페스티벌 «뷀코»(2017~)를 매년 공동 기획하고 있다. 현재 캐나다, 한국을 오가며 디자인하고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 타이포그라피 학회 국제교류이사직(2020-2021)을 맡고 있다.


본 워크숍을 위한 설문조사 참여를 위해 아래 링크나 포스터의 QR코드로 접속해주시기 바랍니다.


Comentarios


Featured Posts
Recent Posts

주토론토총영사관

캐나다한국교육원

Education Affairs Section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oronto

555 Avenue Road , Toronto, Ontario, Canada M4V 2J7 
 

T. 416-920-3809 / F. 416-924-7305 
 

E-mail: koreducation@gmail.com

Copyright ⓒ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Education Affairs Section)

bottom of page